[태그:] MCP
-
MCP Client: Streamlit과 MCP, LangChain으로 동적 툴(Tool) 라우팅 에이전트 구축
최근의 AI Client는 단순히 정해진 답변만 하는 것을 넘어, MCP와 같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외부 도구를 활용하고 여러 AI 모델의 능력을 조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용자의 질문에 맞춰 최적의 도구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여러 AI 에이전트의 답변을 종합하여 최종 결과를 제공하는 챗봇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MCP Client는 Streamlit으로 만든 UI 뒤에서,…
-
Firecrawl MCP Server: 웹 스크래핑과 리서치를 위한 강력한 도구
🔥 Firecrawl MCP Server는 웹 스크래핑 기능을 제공하는 Model Context Protocol(MCP) 서버 입니다. 이 도구는 웹 콘텐츠 수집, 검색,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연구자,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들에게 강력한 웹 리서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 오픈소스 AGPL -3.0 (https://github.com/mendableai/firecrawl/blob/main/LICENSE) 으로 제공된 버전과 Cloud 버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와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근 MCP…
-
Home Assistant MCP 연동으로 Claude와 스마트홈 제어하기
스마트홈의 발전과 함께 AI 기술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Home Assistant에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를 구성하여 Claude Desktop과 연동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어로 스마트홈 기기를 제어하고, 더욱 지능적인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Home Assistant MCP Server 구성 방법 1. 사전 요구사항 연동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2. Home Assistant에…
-
FastAPI-MCP: FastAPI 서버를 MCP Server로 간단하게 전환하는 라이브러리
데이터 제어를 위한 백엔드 시스템으로 Python과 FastAPI를 통해 구현하였다면, Model Context Protocol(MCP) 서버로 변환해주는 강력한 라이브러리인 FastAPI-MC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astAPI-MCP란 무엇인가? FastAPI-MCP는 FastAPI로 작성된 API 서버의 모든 엔드포인트를 MCP 도구(tool)로 자동 변환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Claude, Cursor와 같은 AI 도구들과 쉽게 통합되도록 고안된 프로토콜로, 이를 통해 여러분의 API를 AI 모델이 직접 활용할 수 있게…
-
n8n: 강력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 완벽 가이드
지난번 make.com에 대한 소개 글 이후로 이와 비슷하지만, 또한 강력한 다른 자동화 도구를 추가로 소개하려고 합니다. 여러 다양한 자동화 도구 중에서도 n8n은 오픈소스 기반의 강력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n8n의 특징부터 설치 방법, 활용 사례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make.com(구 Integromat)과 n8n의 차별성 n8n과 make.com은 모두 인기 있는 자동화 도구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
Google Drive MCP 서버: Claude와 Google Drive를 연결하는 강력한 도구
Claude AI를 사용하면서 Google Drive에 저장된 파일들을 직접 활용하고 싶으신가요? Google Drive MCP 서버를 통해 이제 Claude가 여러분의 Google Drive 파일을 검색하고, 읽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Google Drive MCP 서버의 특징, 기능, 설치 방법 및 활용 예제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oogle Drive MCP 서버란? 앞서 다른 포스트에서 언급된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는 AI…
-
Claude 와 Filesystem : Model Context Protocol(MCP) 실제 적용 사례
Claude Desktop에서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제어해보자 Model Context Protocol에서 자주 언급되는 연동 사례 중에서 File System을 연동하는 케이스가 있어서 이 부분도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LLM에서 내 Local의 File시스템을 검색하고, 관련된 정보를 얻는데 매우 유용한 MCP Server 가 되겠습니다. 소스의 레파지토리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github.com/modelcontextprotocol/servers/tree/HEAD/src/filesystem Claude Deskop을 사용하다가 내 로컬안에 있는 파일 및 파일의…
-
Claude와 Brave Search Engine: Model Context Protocol(MCP)의 실제 적용 사례
최근 AI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AI 모델과 외부 서비스 간의 통합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입니다. 이 글에서는 Anthropic의 Claude(Desktop 설치버전)와 Brave Search Engine의 연결 사례를 통해 MCP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Model Context Protocol(MCP)이란? MCP는 AI 모델이 외부 도구나 서비스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AI 모델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
요즘 핫하다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RAG를 넘어서는가?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외부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기존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의 한계를 넘어서는 차세대 접근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MCP의 개념, 사용 사례, RAG와의 차이점, 그리고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MCP란 무엇인가? Model Context Protocol은 LLM이 외부 소스와 상호작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져오는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기존 RAG가 미리 검색된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