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AI

  • AG-UI: AI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 상호작용을 위한 새로운 프로토콜

    AG-UI: AI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 상호작용을 위한 새로운 프로토콜

    AI 에이전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를 실제 서비스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에이전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표준화된 방식이 부족했던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pilotKit이 새롭게 공개한 ‘AG-UI(Agent-User Interaction Protocol)’는 AI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합니다. AG-UI란 무엇인가? AG-UI는 ‘에이전트-사용자 상호작용 프로토콜(AGent-User Interaction Protocol)’의 약자로, 다양한 에이전트 백엔드와…

  • 크로스 모달(Cross Modal)과 멀티 모달(Multi Modal): 개념, 응용사례 및 차이점

    인공지능 기술 중 데이터 형태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크로스 모달(Cross Modal)과 멀티 모달(Multi Modal) 으로 나뉠수 있습니다. 이 두 개념은 비슷해 보이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개념의 정의, 응용사례, 그리고 두 접근법의 주요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멀티 모달(Multi Modal)이란? 멀티 모달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 형식(모달리티)을 동시에 처리하고 학습하는 AI 접근 방식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 Agent Communication Protocol(ACP): 에이전트 상호 운용성을 위한 개방형 표준

    Agent Communication Protocol(ACP): 에이전트 상호 운용성을 위한 개방형 표준

    Agent Communication Protocol(ACP)는 다양한 AI 에이전트들이 서로 효율적으로 통신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ACP는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 산하에서 오픈 거버넌스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AI 에이전트 생태계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ACP의 필요성 및 등장 배경 현재 AI 시스템들은 각기 다른 프레임워크와 기술 스택에 기반해 개발되어 왔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 Huggingface 모델을 ONNX로 변환

    Huggingface 모델을 ONNX로 변환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공지능 모델을 제공하는 플랫폼들이 생겨났고, 이중Huggingface는 가장 인기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다양한 모델 중에 자연어 처리(NLP) 모델을 중심으로 특정한 언어나 도메인에 사전 학습이 된 모델이 있는데 그러나 이러한 모델들을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때 ONNX(Open Neural Network Exchange) 변환이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필자의…

  • n8n: 강력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 완벽 가이드

    n8n: 강력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 완벽 가이드

    지난번 make.com에 대한 소개 글 이후로 이와 비슷하지만, 또한 강력한 다른 자동화 도구를 추가로 소개하려고 합니다.  여러 다양한 자동화 도구 중에서도 n8n은 오픈소스 기반의 강력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n8n의 특징부터 설치 방법, 활용 사례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make.com(구 Integromat)과 n8n의 차별성 n8n과 make.com은 모두 인기 있는 자동화 도구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 “Make” 업무 자동화의 세계: 코딩 없이 가능한 워크플로우 혁명

    “Make” 업무 자동화의 세계: 코딩 없이 가능한 워크플로우 혁명

    업무 자동화에 관심이 있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Make가 여러분의 완벽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코드 작성 없이도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Make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Make? Make(이전 명칭: Integromat) https://www.make.com/ 는 코딩 지식 없이도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노코드(No-code) 플랫폼입니다. 직관적인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 구글 딥마인드의 Veo 2: 텍스트로 4K 영상을 창조하는 AI

    구글 딥마인드의 Veo 2: 텍스트로 4K 영상을 창조하는 AI

    영상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Veo 2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텍스트 입력만으로 고품질 영상을 생성해내는 이 혁신적인 AI 서비스는 영상 제작의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Veo 2의 특징과 기능, 그리고 OpenAI의 Sora와의 차별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Veo 2란 무엇인가? Veo 2는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최첨단 AI 기술로, 사용자가 입력한…

  • AI 리터러시: 인공지능 시대의 필수 역량

    인공지능의 기술은 걷잡을수 없이 빠르게 진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 기술의 보급과 일상에 적용도 확대되면서 우리가 인공지능 시대에 어떻게 이 기술을 활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러한 환경에서 나온 ‘AI 리터러시’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AI 리터러시의 의미와 앞으로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 그리고 우리가 대비해야 할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I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AI…

  • Google Drive MCP 서버: Claude와 Google Drive를 연결하는 강력한 도구

    Google Drive MCP 서버: Claude와 Google Drive를 연결하는 강력한 도구

      Claude AI를 사용하면서 Google Drive에 저장된 파일들을 직접 활용하고 싶으신가요? Google Drive MCP 서버를 통해 이제 Claude가 여러분의 Google Drive 파일을 검색하고, 읽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Google Drive MCP 서버의 특징, 기능, 설치 방법 및 활용 예제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oogle Drive MCP 서버란? 앞서 다른 포스트에서 언급된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는 AI…